이전 시간에 Stream Cipher와 Block Cipher에 대해서 알아보고
Block Cipher 중 DES에 대해 알아보았다.
이번에는 하나의 키에서 블록 암호를 반복적으로 안전하게 이용하게 하는 절차인
운영 모드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.
운영모드 (Modes of Operation)
ECB (Electronic Codebook)
블럭단위의 입력값을 넣으면 암호화 후 그대로 암호문이 나오는 방식
문제
Plaintext가 동일하면 Ciphertext가 동일한 문제가 있음
CBC (Cipher Block Chaing)
Cipher가 chaining 되는 모드
- P1, P2가 동일하더라도 암호문은 다름
- 데이터의 무결성을 검사하고 싶을 때 사용함
CFB (Cipher FeedBack)
사전의 처리한 값과 평문의 연산 결과를 사용하여 암호화하는 방법
- 매번 암호화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음.
- 사전의 처리한 값이 준비되어도 Plaintext를 기다려야 함.
OFB (Output FeedBack)
사전의 처리한 값을 사용하여 암호화하는 방법
- 매번 암호화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음
- 미리 계산해서 레지스터에 저장해놓을 수 있음
CTR (Counter)
- 병렬적으로 생성 가능
- Plaintext와 무관하게 생성 가능
GCM (Galois Counter Mode)
Encryption mode + MAC : 암호화와 Message Authentication(무결성)을 동시에 할 수 있다.
'Computer Science > 정보보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정보보안:: AES (Advanced Encryption Standard) (1) | 2023.04.16 |
---|---|
정보보안:: 유한체 (Introduction to Finite Fields) (0) | 2023.04.16 |
정보보안:: Block Ciphers & DES (0) | 2023.04.14 |
정보보안:: 고전 암호 (Classical Encryption Techniques) (0) | 2023.04.12 |
정보보안:: 정보보안 개요 (0) | 2023.03.17 |